C++

[백준 알고리즘] 2839번 : 설탕 배달, c++

2022. 1. 22. 23:21

https://www.acmicpc.net/problem/2839

 

2839번: 설탕 배달

상근이는 요즘 설탕공장에서 설탕을 배달하고 있다. 상근이는 지금 사탕가게에 설탕을 정확하게 N킬로그램을 배달해야 한다. 설탕공장에서 만드는 설탕은 봉지에 담겨져 있다. 봉지는 3킬로그

www.acmicpc.net

c++로 백준 2839번 문제를 풀어보겠다.

 

 

 

 

 

문제

상근이는 요즘 설탕공장에서 설탕을 배달하고 있다. 상근이는 지금 사탕가게에 설탕을 정확하게 N킬로그램을 배달해야 한다. 설탕공장에서 만드는 설탕은 봉지에 담겨져 있다. 봉지는 3킬로그램 봉지와 5킬로그램 봉지가 있다.

상근이는 귀찮기 때문에, 최대한 적은 봉지를 들고 가려고 한다. 예를 들어, 18킬로그램 설탕을 배달해야 할 때, 3킬로그램 봉지 6개를 가져가도 되지만, 5킬로그램 3개와 3킬로그램 1개를 배달하면, 더 적은 개수의 봉지를 배달할 수 있다.

상근이가 설탕을 정확하게 N킬로그램 배달해야 할 때, 봉지 몇 개를 가져가면 되는지 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3 ≤ N ≤ 5000)

출력

상근이가 배달하는 봉지의 최소 개수를 출력한다. 만약, 정확하게 N킬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면 -1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8

예제 출력 1 복사

4

 

 

 

 

<문제 풀이>

다음은 내가 처음에 작성한 코드이다.

여기서 문제점은 바로 전에 풀었던 문제와 같이 너무 어렵게 생각했고, 모든 경우를 생각해 조건을 걸어주려고 했다는 것이다.

코딩 문제를 잘 풀려면 문제를 간단히 하거나 일반화해 코드의 줄 수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또 느꼈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cin >> N;

    int x = 0;
    int y = 0;
    while (true) {
        if (N % 3 == 0)
            break;

        if (5 * x > N) {
            if (x == 0)
                break;
            else {
                x--;
                break;
            }
        }
        x++;
    }
    while (true) {
        if (3 * y > N - 5 * x) {
            if (y == 0)
                break;
            else {
                y--;
                break;
            }
        }
        y++;
    }

    if (5 * x + 3 * y != N)
        cout << -1;
    else if (5 * x + 3 * y == N)
        cout << x + y;

    return 0;
}

 

이렇게 코드가 길다보니 오류가 나는 것은 물론이고, 틀려도 어디서 틀렸는 지 디버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을 뿐 아니라, 또 모든 경우를 고려해 수정하는 데 여려움을 느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완성한 코드는 일반화시키는 것은 물론, 간단하고 간결하게 완성할 수 있었다.

 

1. N을 선언한 후 입력받는다.

2. while 문을 N이 양수인 동안 반복한다.

- while 문 코드 내용 -

N이 5로 나누어 떨어진다면 N을 5개 빼고 count 값을 하나 올린다. (N이 5, 10, 15, 20.....)

N이 3로 나누어 떨어진다면 N을 3개 빼고 count 값을 하나 올린다. (N이 3, 6, 9, 12, 15.....)

N이 5보다 크면  N을 5개 빼고 count 값을 하나 올린다. (N이 3의 배수도 아니고 5의 배수도 아닐 경우)

위의 3개의 조건 중 어느 것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count에 -1을 저장한 후 반복문을 종료한다. (N이 1, 2, 4일 경우 종료)

3. 계산한 count 값을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