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가지의 등차수열 경우의 수가 있으므로, 2가지 경우의 수를 고려해 등차가 더 적은 경우로 출력하도록 구현했다.
특히 cout << precision(); 에서,
해당 함수 안에 들어가는 수는 정수부와 소수부의 자리수를 포함한 값이기 때문에,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를 출력하려면
cout << fixed;
와 함께 precision() 안에는 1을 써주어야하는 것이 중요했다.
작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iostream>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int argc, char** argv){
// t 입력받기
int t;
cin >> t;
// 등차수열 계산해서 출력하기
double a,b,c;
for(int i=0; i<t; i++) {
cin >> a >> b >> c;
double result;
double temp1 = abs( (b+(b-a)) -c );
double temp2 = abs( (a+c)/2 - b );
if(temp1 > temp2)
result = temp2;
else
result = temp1;
cout << fixed;
cout.precision(1);
cout << "#" << i+1 << " " << result << "\n";
}
return 0;//정상종료시 반드시 0을 리턴해야합니다.
}
'SW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 6913. 동철이의 프로그래밍 대회 D3 C++ (0) | 2024.05.12 |
---|---|
SWEA 19113. 식료품 가게 D3 C++ (0) | 2024.05.12 |
SWEA 1926. 간단한 369게임 D2 C++ (0) | 2024.05.11 |
SWEA 2005. 파스칼의 삼각형 D2 C++ (0) | 2024.05.11 |
SWEA 17319. 문자열문자열 D3 C++ (0) | 2024.05.10 |